'Leather Tools/Couteaux(Knives, 가죽공예용 칼)'에 해당되는 글 3건

교신엘르사의 제일 저가 모델인 미키히사 재단칼.


저가모델이긴 하지만 24mm, 36mm, 피할용 라운드칼, 사선칼 등 4가지 버전으로 다양하게 나와서 활용성이 높은 모델이다.

4가지 모두 구매하여 확인해 보았는데, 깜박하고 사선칼은 사진을 찍지 않고 같은 공방의 회원 아주머니께 사온 가격에 분양해 드렸다..

사실은 내가 택배를 받자 마자 공방에 가져가서 시험해 보려고 가져 갔는데, 새 칼을 구경한다고 공방 회원들이 보더니... 너~~무 잘 짤리고 좋아 보이니 서로 팔라고 아우성이었다..ㅎㅎ

그 와중에 사선칼은 아주머니 회원님이 바로 낚아채감..ㅎㅎ

처음 받자 마자 시험해 보니 정말 스치기만 해도 잘리는 정도이다.

날물 관리를 적당히 하면 그 어떤 칼도 부럽지 않은 칼이다.


1. 라운드 피할칼 

 사실 팔로산토 피할기를 샀다가 크게 쓸모가 없어서 처분한 적이 있다.

이 칼로 적당히 연습하면 팔로산토 피할기정도는 필요 없다.

뒷면에 특급품! 미키하사 라고 똭 써있다.

새 상품이라 그런지 날이 아주 잘 서있다.

엄청 얇게 잘 썰리는 것 보이는가?


미키하사 칼은 종류가 달라도 손잡이는 다 한사이즈인것 같다.

대표로 얘를 측정했다.

길이는 102미리. 둘레는 대충 65미리 정도 되었다. 여자 손에도 딱 들어가는 크기.

날은 손잡이에 박혀있는 정도가 약간씩 차이나지만 평균 70미리쯤 튀어나와 있다.


2. 미키히사 24mm  가죽재단칼.

 36mm에 비해서 폭이 좁아 날 끝에 비교적 큰 힘이 가해진다.

 두꺼운 베지터블 가죽도 힘안들이고 슥슥 잘렸다.ㅎㅎ

얘는 뒷면에 메이드 인 재팬, 미키하사 라고 똭 써있다. 보통 메이드인 재팬 잘 안써져 있는데..


가격은 일본현지 가격이 24mm, 36mm가 2000엔정도, 라운드 피할칼, 사선칼이 2600엔 정도되는 것 같다.

우리나라에서는 24mm, 36mm가 27000원정도, 라운드칼 사선칼은 3만원 중반에 거래되는 것 같다.

가격대비 매우 괜찮은 제품!

블로그 이미지

Mathaphor

Hedy's Porcelain Atelier 포슬린 페인팅 작가 헤디의 작은 공방

,

트랑셰 나이프 (Tranchet)란 가죽공예에서 주로 쓰는 자루(손잡이 부분)가 없는 금속 칼을 의미한다.

나에게는 어쩌다 보니 3개의 트랑셰가 있게 되었는데, 모두 프랑스 산이다. ㅎ

오늘은 이 세가지의 트랑셰에 대한 포스팅을 해보도록 하겠다.


ㅎㅎ 아름다운 자태의 트랑셰 삼총사들.

맨위의 것이 베르제 블랑샤르 트랑셰 15/10

중간 것이 베르제 블랑샤르 트랑셰 5mm + 푸로 (fourreau)

맨아래의 것이 내가 아끼는 이름 없는 프랑스산 나무 푸로와 트랑셰이다.


구체적으로 비교하기 전에 한국 가죽공예인들 사이에 잘못 알려져 있는 몇가지를 정정해야겠다.


먼저 트랑셰 나이프 라는 이름.

 베르제 블랑샤르를 수입상으로 제일 유명한 쌩빠(Sympa)에서도 트랑셰(Tranchet)를 '트랑셰 나이프'라고 한국어로 옮겨 놨다. 하지만 이는 틀린 것이다.

 프랑스어로 Tranchet(트랑셰) 단어 자체가 맨 처음 말했듯, 손잡이 없는 가죽장인의 칼을 의미한다.

 따라서 한국말로도 '트랑셰'라고 하는 것이 옳다.


그다음 푸로라는 이름.

 한국 가죽공예인 사이에서는 '푸로 나이프'라고도 불린다. 쌩빠에는 '푸로'라고 되어 있고 그 설명에 '황동 칼집과 푸로날'로 되어 있다고 써있다.

 이또한 말이 안되는 말이다. Fourreau(푸로)라는 단어 자체가 '칼집'이라는 뜻이다.

 따라서 사실 블랑샤르의 '푸로'라는 것은 저 황동재질의 칼집만 의미한다.

 정확한 프랑스이름은 'Fourreau l'indispensable', 직역하면 '필수품! 칼집'? 정도 되겠다. 아마 가죽공예에 필수적인 것이라는 뜻으로 이름을 저렇게 붙인 듯하다.

 그럼 칼날은? 역시 트랑셰라고 불린다. 정확하게는 저 트랑셰는 오로지 저 푸로에 맞게 만들어진 것이므로 'Fourreau l'indispensable을 위한 5밀리짜리 트랑셰 (TRANCHET DE PEAUSSIER 5 MM POUR FOURREAU L' INDISPENSABLE)'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 

 

 자, 앞으로 확실히 알고 이 단어들을 사용하자.


 트랑셰는 원래 손잡이 없이 금속 칼날만 있는 칼이므로, 보통 가죽을 돌돌 말아서 사용한다. 나는 귀찮아서.. 그냥.. ㅎㅎㅎ

 그래서 이처럼 '푸로'라는 칼집을 만들어서 끼워서 쓰기도 하는 것이다.

 아래 사진은 세 트랑세를 날을 꺼내서 찍은 비교샷이다.


맨위의 이름없는 나무푸로는 동그란 모양인데, 황동 커버를 꾹 눌러 씌워서 날을 고정하는 방식이다.

맨 아래의 블랑샤르 황동푸로는 두개의 나사를 돌려서 고정하는 방식이다.

 가운데, 세개의 트량셰 차례대로 놓아 봤다.

 

 내가 제일 아끼는 이름없는 트랑셰가 가장 짧지만, 폭은 중간 (길이 10.5cm, 폭 0.6cm)이고, 

 블랑샤르 트랑셰 15/10는 길이 14cm, 폭 1cm,

 맨 아래의 랑디스팡사블 푸로 트랑셰는 길이 20cm, 폭 5cm이다.




세 트랑셰의 날 모양 비교샷.

블랑샤르의 트랑셰는 서로 폭이 다르므로 날각도가 좀 차이나게 연마되어 있지만, 기본적인 형태는 같다.

 나무푸로의 트랑셰는 심플하게 연마되어 있다.



사진이 엉망이라 잘 안보이지만 날의 두께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얇다. 

트랑셰15/10 > 나무푸로 트랑셰 > 블랑샤르 푸로 트랑셰



판대편 측면 샷.



날을 짱짱하게 연마하면 좋겠지만, 그렇다면 당연 날이 잘 들기 때문에 적당히 사용하던 그대로 비교해 보았다.

세 트랑셰를 사용해 본 비교를 간단히 해보면...



블랑샤르 황동 푸로 트랑셰는 사실... 왜 사용하는지 모르겠다.

 황동이라 번쩍번쩍 광도 나고 예쁘다는 장점 이외에는 별 장점이 없다.

 일단 날이 너무 얇아서 힘을 주면 휜다. 아, 폭이 좁아서 좁은 부분을 재단할 때 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다른 두 트랑셰에 비해서 재단하기에 손힘이 제일 많이 든다. 이유는 모르겠다. 잡는 방식이나 힘을 주는 방식이 개인차가 있으니 일반화하기는 힘들지만, 암튼 나는 제일 힘들었다.


 블랑샤르 트랑셰 15/10

 쏘쏘하다. 재단도 적당히 잘되고, 휴대도 간편하고 좋다. 가죽으로 말아서 칼집을 만들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사실 제일 싸다.. 프랑스 블랑샤르 홈페이지에서 5.43유로 (7000원쯤)으로 나와 있다.

 황동푸로와 트랑셰는 합해서 24유로쯤 (사실 트랑셰만은 3.5유로, 4500원쯤ㅋㅋ) 


나무 푸로 트랑셰.

 이건 사실 프랑스에서 중고로 구매한 것이다. 나중에 소개할 프랑스산 휠마커와 함께 세트로 구매했는데, 트랑셰는 한 4만원쯤 준것 같다.

 칼날에는 메이커인지 아닌지 모를 'l'artisan pratique paris (빠리 실용 수공예)'라고 적혀 있는게 전부다. 구글 검색을 해보니 같은 제품은 없으나 비슷한 디자인의 다른 도구들이 있기도 하다. 암튼 메이커는 잘 모르겠다.(암튼 프랑스산)

 근데 정말 좋다. 잘 잘린다. 칼날의 모양이 달라서 그런지 힘이 받는 위치가 다른 것 같다. 손쉽게 잘 재단되고 곡선도 잘 재단 된다.

 단 단점은, 나무 푸로가 칼날을 확실하게 고정을 못해준다는 점.. ㅋ 안쪽에 나사를 하나 박든지 해서 칼날을 고정할 수 있게 만들어야 겠다.


암튼 나의 트랑셰 3종 간단 비교 끗!


블로그 이미지

Mathaphor

Hedy's Porcelain Atelier 포슬린 페인팅 작가 헤디의 작은 공방

,

라후스(Larousse) 사전에 나와 있는 불어 이니셰의 뜻. 

initié, initiée

: Personne qui est dans le secret, qui est au courant de certaines pratiques, qui est instruite dans quelque art : Film qui ne s'adresse qu'aux initiés.


 초심자, 입문자의 뜻을 담고 있는 이니셰 나이프는 말그대로 가죽 공예의 입문자에게 꼭 필요한 나이프라고 할 수 있다.

 베르제 프랑스 홈페이지에서는 구입할 수 없는 것으로 보아 한국에서만 팔리는 것 같기도 하다..(확인해야 함)

 

 사실 이런 모양의 칼은 일본의 가죽공예 스타일이라고 한다. 유러피안 가죽공예에서는 반월도를 기본으로 쓰는 듯.

 암튼 손에 딱 들어맞는 사이즈이다. 무게감도 적당하고, 일본의 가죽칼과는 또 다른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이니셰 나이프 앞면.


이니셰나이프 뒷면


근접샷. 

칼날이 두툼하고, 각도가 적당하다. 날이 전혀! 구부러지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많이 쓰는 초보자입문 용 일본가죽재단칼인 동경수차 칼과의 비교샷.

날자체가 매우 작다. 이니셰 나이프의 칼날 폭은 3센치이다.


날의 두께는 3밀리미터로 동경수차보다 훨씬 두껍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측


 우리 공방 선생님의 평에 의하면, 그립감이 좋고, 칼날이 작아서 힘이 잘 집중되서 잘 잘리는 것 같다고 한다. 실제로 매우 재단이 잘된다. 동경수차에 비해서 잘 잘린다. 물론 날을 날 세우면 비슷비슷하게 잘 잘린다.


 아껴서 쓸려고 커버도 만들어 줬다. ㅎ


이니셰나이프 소개 끗.

블로그 이미지

Mathaphor

Hedy's Porcelain Atelier 포슬린 페인팅 작가 헤디의 작은 공방

,